반응형

멸균 46

의료기기 멸균 검증, BI와 CI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멸균 공정의 검증은 의료기기 제조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품질 관리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검증 도구는 생물학적 인디케이터(BI)와 화학적 인디케이터(CI)입니다. 두 방법 모두 멸균의 신뢰도를 확보하는 데 필수적이며, 목적과 특성에 따라 병용이 권장됩니다. BI(Biological Indicator)는 멸균의 ‘결과’를 입증합니다. BI는 내열성이 높은 특정 미생물을 멸균 조건에 노출시킨 후, 생존 여부를 배양을 통해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Steam 멸균의 경우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EO(Ethylene Oxide) 멸균의 경우 Bacillus atrophaeus를 일반적으로 사용합니다. BI는 실제로 미생물이 죽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멸균의 효과를..

멸균/멸균 2025.08.07

감마멸균에서 전자빔멸균으로 전환 시 주의사항

의료기기 멸균 공정은 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감마선 멸균에서 전자빔(Electron Beam, 이하 E-beam) 멸균으로 변경되는 경우, 이는 단순한 공정 변경이 아닌 멸균 방식의 근본적 전환으로 간주되며, 이에 따른 재평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특히 유효기간 시험자료는 재멸균 안정성 및 품질을 입증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므로, 전자빔 멸균에 특화된 시험 결과로 대체되어야 합니다.전자빔 멸균은 감마선에 비해 침투력이 낮고, 멸균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에너지 전자의 순간적인 조사로 인해 자재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영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포장재, 제품 성능, 무균성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시험이 요구됩니다.첫째, 포장시험은 전자빔 멸균 ..

멸균/감마멸균 2025.08.03

EO 가스 멸균에서 주사용기의 워스트 케이스 선정 기준

EO 가스 멸균은 의료기기 멸균 방법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로, 제품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가스의 침투성 및 멸균 효과가 크게 달라집니다. 특히 주사용기와 같은 루멘 구조를 가진 기기에서는 EO 가스가 내부 깊숙이 도달하는 것이 멸균 유효성의 핵심 요소가 됩니다. 워스트 케이스를 올바르게 선정하는 것은 멸균 검증(Validation)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워스트 케이스는 멸균이 가장 어려운 조건을 대표하는 샘플을 의미합니다. EO 가스 멸균에서는 가스의 침투 자유도와 제품 표면적이 주요 고려 요소가 됩니다. 내부까지 EO 가스가 침투해야 하는 경우, 루멘이 길고 직경이 좁으며 입구가 작은 주사용기가 멸균에 불리하여 워스트 케이스가 됩니다. 이는 EO 가스가 루멘 끝까지 도달하기 위해..

멸균/EO멸균 2025.07.20

3M Attest 생물학적 지시제 해석 가이드 – EO 멸균 공정에서의 이해

의료기기 멸균 공정에서 생물학적 지시제(Biological Indicator, 이하 BI)는 멸균이 실제로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는지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 EO(Ethylene Oxide) 멸균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열에 민감한 제품을 멸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멸균 공정의 관리와 검증이 중요합니다. 3M Attest EO BI는 그러한 검증에 적합한 대표적인 제품 중 하나입니다. 해당 제품 라벨에는 사용자가 반드시 이해해야 할 몇 가지 핵심 정보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먼저, 지표균의 수(population)는 멸균 공정에 도전하는 미생물의 수를 의미하며, 국제 기준에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생균 수를 유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 수치는 ..

멸균/EO멸균 2025.05.06

ISO 11137-1:2025 개정 – 방사선 멸균 기준의 새로운 전환점

2025년 4월, ISO 11137-1의 최신판이 정식으로 발행되었습니다. 본 표준은 의료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에서 방사선 멸균의 기준으로 활용되는 핵심 문서로, 2006년판 이후 약 19년 만의 개정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큽니다. 이번 개정은 단순한 문구 조정보다 훨씬 깊은 수준의 기술적, 규제적 변화를 담고 있으며, 방사선 멸균의 활용 범위 확대 및 산업계의 유연성 확보라는 큰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번 개정의 주요 변화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새로운 버전에서는 ASTM E2628을 비롯한 다수의 ASTM 표준이 도심법(dosimetry) 및 계측기 교정 정의에 참고 문서로 포함되었습니다. 이는 실험 기반 접근과 미국 시장의 실무 기반 기준을 보다 잘 수용하기 위한 ..

멸균/감마멸균 2025.04.13

의료기기 인큐베이터의 온도 유지와 검증 (3M™ Attest™ Biological Indicator Incubator)

의료기기의 정확성과 신뢰성은 환자의 안전과 직결되며, 이는 특히 멸균 검증에 사용되는 장비에서 더욱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3M™ Attest™ Biological Indicator Incubator와 같은 장비는 멸균 공정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조사가 명시한 조건인 37°C ± 2°C의 온도 유지 능력은 그 정확성을 보증하는 핵심 요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의 온도 유지 성능을 검증하고, 이를 규제기관이나 감사관에게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사용자의 중요한 책임 중 하나입니다. 먼저,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장비의 사양과 검증 데이터는 초기 신뢰성을 입증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3M™ Attest™ Incubator는 설계 단계에서 이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철저히 테스트되고 검증된 ..

멸균/멸균 2025.03.01

의료기기 습열멸균: ISO 17665:2024 기준과 적용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무균성을 확보하기 위해 습열멸균(Steam Sterilization)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멸균 방식 중 하나입니다. ISO 17665:2024는 이러한 습열멸균 공정을 관리하고 검증하기 위한 국제 표준으로, 멸균 공정의 유효성 검증과 품질 보증을 위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습열멸균은 기본적으로 가열-멸균-냉각-배기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멸균 과정에서 포화 증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미생물을 비활성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일반적으로 121°C에서 15분, 또는 134°C에서 3~4분 동안 멸균을 수행하며, 사용 목적과 기기 특성에 따라 다양한 파라미터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ISO 17665:2024는 의료기기 멸균을 위해 적절한 공정 개발, 밸리데이션, 그리고 ..

EO멸균에서 감마멸균으로의 변경 시 요구되는 시험항목

의료기기의 멸균 방법을 EO(Ethylene Oxide) 멸균에서 감마멸균으로 변경하거나 추가하고자 할 때는, 감마멸균의 높은 에너지 특성으로 인해 제품의 원재료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철저히 검토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기술문서 심사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시험성적서를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마멸균은 EO 멸균보다 더 강력한 에너지를 사용하므로, 원재료 및 제품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입증해야 합니다. 이는 성능시험, 생물학적 안전성시험, 물리화학적 시험, 안정성시험 등 전반적인 시험이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제품의 인체 접촉 부위와 소재의 안정성이 입증된다면, 시험 범위를 줄이는 것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특히, 스테인리스강 및 실리콘오일과 같이 감마멸균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소재로 구..

멸균/감마멸균 2025.01.27

EO 가스 외주 멸균 후 잔류 가스 발생 문제 대응방안

의료기기 제조 과정에서 EO(에틸렌옥사이드) 가스를 사용한 멸균은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EO 가스는 고독성과 발암성을 지닌 물질로, 멸균 후 잔류량이 허용 기준을 초과하면 환자와 사용자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O 멸균 서비스 제공업체가 환기(Aeration) 과정을 충분히 수행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최근 EO 잔류량 초과 문제가 보고된 사례를 통해 그 주요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합니다. EO 잔류 문제의 주요 원인 EO 가스 잔류량 초과는 여러 복합적 요인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우선 환기 시간 단축은 가장 일반적인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일부 업체는 운영 비용을 절감하거나 납품 일정을 맞추기 위해 환기 단계를 충분히 거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멸균/EO멸균 2024.12.19

EO가스 잔류량 합격 기준

의료기기 제조 및 멸균 공정에서 EO(Ethylene Oxide) 가스는 강력한 살균 효과로 인해 널리 사용됩니다. 하지만 EO 가스가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멸균 이후 기기에 남아 있는 EO 잔류량은 엄격히 관리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국제적으로 ISO 10993-7을 포함한 다양한 규제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도 의료기기법에 따라 EO 잔류량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ISO 10993-7 기준에 따르면 EO 잔류량은 일반적으로 4 mg/device 이하로 제한되며, ECH(Ethylene Chlorohydrin) 및 EG(Ethylene Glycol) 또한 각각 9 mg/device와 비슷한 낮은 수준으로 관리됩니다. 이는 EO 가스의 유독성을 최소화하여 환자 및 사용자 안..

멸균/EO멸균 2024.11.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