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13485/ISO 13485:2016

의료기기 QMS SOP에서 읽는 최신 품질 및 사이버보안 트렌드

UDAMED 2025. 3. 28. 14:53
728x90
반응형

의료기기 산업에서 표준운영절차(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는 제품의 품질과 안전을 보장하는 필수 체계입니다. 최근 SOP 리스트를 살펴보면, 전통적인 품질 시스템 요소 외에도 업계의 기술 발전과 규제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최신 트렌드가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사이버보안 관련 SOP의 도입과 확장은 매우 주목할 만한 변화입니다. 'Cybersecurity Monitoring' 및 'Cybersecurity Risk Management'와 같은 문서들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은, 점점 더 많은 의료기기가 네트워크 연결 및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전환되며 보안 위협에 대한 대비가 중요해졌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2023년 FDA의 'Premarket Cybersecurity Guidance' 개정안과 같은 글로벌 규제 변화에도 부합하는 흐름입니다.

또한 사용자 중심 설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Human Factors / Usability Engineering'에 대한 SOP가 존재하는 것은 단순한 제품 성능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 특히 환자 및 의료인 사용 시 안전성과 효율성을 강화하려는 업계 전반의 의지를 반영합니다. 이는 ISO 62366과 FDA의 HFE 가이드라인을 반영한 것으로, 개발 초기부터 사용자 요구사항을 설계에 반영하는 접근이 보편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뿐만 아니라, 'Operational Excellence Framework'와 같은 SOP는 기존 제조 품질 관리에서 나아가 지속적인 개선과 전략적 운영체계 구축을 지향하는 경향을 보여줍니다. 이는 단순한 규제 대응을 넘어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 패러다임의 전환을 나타냅니다.

마지막으로, 'Significant Change Determinations', 'Regulatory Reporting and Submissions', 'Post Market Surveillance' 등 규제 대응 관련 SOP들이 정비되고 있는 점은, EU MDR, IVDR과 같은 국제 규제 강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려는 노력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최신 SOP 구성은 단순한 문서의 나열이 아닌, 의료기기 산업 전반의 변화 방향을 반영하는 '미래 지향적 설계도'라 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이러한 흐름을 반영한 SOP 정비와 함께, 관련 조직의 역량 강화와 시스템 연계를 통해 진정한 품질 문화의 정착을 이뤄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