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출처 문서란 조직 외부에서 생성된 규제 자료로, 각국의 규제기관, 국제 표준화 기구, 공급업체, 계약 제조업체 등이 제공하는 문서를 포함합니다. 여기에는 국가별 규정, 라벨링 언어 요구사항, 이상사례 보고 양식, 불만 처리 절차 등이 포함되며, 이 문서들은 제품 설계, 제조, 사후관리의 모든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참조되어야 합니다.
특히, 문서의 적절한 관리 여부는 규제 준수와 제품의 시장 신뢰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외부출처 문서 관리의 실무적 접근법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외부출처 문서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이 필요합니다:
1. 표준화된 관리 도구 활용
외부출처 문서의 관리 체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별도의 관리 양식(예: Regulatory Questionnaire)을 도입하는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이 양식은 문서 관리의 주요 요소를 구조적으로 통합하여 다음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문서와 관련된 담당자 정보
- 국가별 이상사례 보고 및 사후관리 요건
- 적용되는 지역별/국가별 규제와 표준
- 라벨링 언어 및 포맷 요구사항
- 소비자 불만 사항 관리와 그에 따른 대응 절차
2. 문서 변경 이력과 최신성 유지
규제 환경은 지속적으로 변화합니다. 외부출처 문서를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변경 사항을 즉각 반영하여 최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문서의 변경 이력을 기록함으로써 누가, 언제, 어떤 변경을 수행했는지 명확히 추적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접근성과 보안의 균형
외부출처 문서는 제품 설계 및 생산 단계에서 적시에 참조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동시에, 민감한 정보가 포함될 가능성이 크므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전산 시스템의 도입도 필수적입니다.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EDMS)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4. 폐기 및 보존 정책 마련
외부출처 문서의 보존 기간은 의료기기 제품의 수명 주기와 국가별 규제 요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문서의 특성과 관련 규정을 고려하여 폐기 및 보존 기간을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보존 기간 동안 문서의 안전한 저장과 쉽게 검색 가능한 구조를 보장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ISO 13485 > 4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기기파일] 의료기기 제품표준서와 허가증 발급의 순서 (0) | 2025.01.26 |
---|---|
[외부출처문서] 외부출처문서 관리가 부실하다면 회사의 전반적인 품질 시스템 운영 수준이 의심될 수 있다 (0) | 2025.01.01 |
[SW밸리데이션] 의료기기 품질관리 시스템(QMS)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검증 방법 (0) | 2024.12.25 |
[변경관리] ECR, ECO, ECN 활용 방법 (0) | 2024.12.19 |
[적용제외조항] 의료기기 품질경영 시스템에서 IF 접근법의 활용 (0)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