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 장비의 유지보수 주기는 장비의 사용 빈도, 환경, 기능적 중요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해야 합니다. 주기가 짧을수록 장비 성능을 최적화할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유지보수와 관련된 자원의 부담도 증가하게 됩니다. 반대로 주기가 너무 길다면 장비 고장 가능성이 증가하고, 이는 제품 품질과 생산 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지보수 주기를 3개월로 설정한 경우, 일정 내 유지보수가 이행될 수 있도록 ±1주일의 허용 오차를 설정하는 방식은 타당합니다. 반면, 6개월 주기의 장비는 ±2주일의 여유를 부여함으로써 실질적인 유지보수 일정 관리와 규제 요건 준수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불필요한 유지보수를 방지하는 동시에 장비의 성능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합니다.
다음은 효과적인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입니다.
1. 계획 기반 유지보수 체계
장비별로 유지보수 주기와 허용 오차를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시스템을 활용하여 유지보수 일정을 자동화하고 알림 기능을 도입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2. 데이터 기반 유지보수
장비의 상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태 기반 유지보수(CBM, Condition-Based Maintenance)를 도입하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장비 고장을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기록 및 문서화
모든 유지보수 활동은 기록으로 남겨야 하며, 이를 통해 내부 감사와 외부 규제기관의 검증 요구를 충족할 수 있습니다. ISO 13485와 같은 규제 표준에서는 유지보수 기록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ISO 13485 > 6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적자원] 교육훈련 효과성 평가와 위험 기반 접근법 (0) | 2024.12.31 |
---|---|
[기반시설] 의료기기 생산/시험 장비 Qualification 방법 (0) | 2024.12.25 |
[기반시설] 의료기기 생산시설과 장비의 유지보수 (0) | 2024.12.25 |
[인적자원] 교육훈련 효과성 평가의 중요성 (0) | 2024.12.25 |
[인적자원] 소규모 회사에서의 교육 유효성 평가: 형평성과 실효성의 균형 찾기 (0) | 2024.07.30 |